청년을 대상으로 한 복지 정책 중 가장 체감도 높은 지원책 중 하나가 바로 청년수당입니다. 서울시뿐 아니라 경기도, 부산광역시, 대전, 광주 등 다양한 지자체에서도 자체적인 청년 지원금을 운영하고 있죠.
하지만 지역마다 수당의 명칭, 대상, 금액, 사용처가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 청년수당과 타 지역 청년수당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정책 목적과 명칭 차이
서울시는 청년수당을 ‘구직활동 지원금’의 개념으로 운영합니다. 반면, 경기도는 ‘청년기본소득’, 부산시는 ‘청년월세지원’, ‘청년희망지원금’ 등 각 지자체 특색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서울시: 청년수당 (구직활동 집중을 위한 현금성 지원)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정기적 지역화폐 지급)
- 부산시: 청년월세지원, 취업청년 자산형성지원 등 다채롭게 분산
2. 신청 자격 비교
서울시와 타 지역 모두 만 19세~34세 사이의 청년을 주요 대상으로 하지만, 거주 기간, 소득 조건, 취업 여부에서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구분 | 서울시 | 경기도 | 부산시 |
---|---|---|---|
나이 | 만 19~34세 | 만 24세 (해당 연령 기준일 존재) | 만 18~34세 |
거주 기간 | 서울시 6개월 이상 | 경기도 3년 이상 or 총 10년 이상 | 부산시 1년 이상 |
취업 상태 | 미취업 또는 주 30시간 미만 근로자 | 취업 여부 관계 없음 | 구직자 또는 저소득층 청년 중심 |
소득 조건 | 중위소득 150% 이하 | 무관 | 중위소득 120% 이하 |
3. 지급 금액과 방식
서울시는 현금으로 월 50만 원, 최대 6개월간 지원합니다. 반면, 경기도는 분기별 25만 원씩 지역화폐로 지급</strong하며, 부산은 정책별로 다르지만 대부분 월세 또는 교육 바우처 형태로 제공됩니다.
- 서울시: 월 50만원 x 최대 6개월 (총 300만원)
- 경기도: 분기별 25만원 x 연 4회 (총 100만원) 지역화폐
- 부산시: 월세 20~30만원, 교육지원금 50만원 등 다양
4. 사용 용도 제한
서울시는 원칙적으로 자유 사용이 가능하나, 수급 중 활동보고서 제출이 필수입니다. 경기도는 지역화폐 형태로 지역 내 사용만 가능하고, 일부 업종 제한이 존재합니다. 부산은 사업 목적에 따라 용도 제한형 바우처로 제공됩니다.
5. 중복 수령 가능 여부
대부분의 지자체는 국민취업지원제도와의 중복 수령 불가 조건을 포함합니다. 서울시 역시 중복 참여 시 선정에서 제외되며, 타 정책 참여 이력이 있을 경우 신청 자격 자체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서울시: 구직활동을 위한 직접 현금 지원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성격, 연령 및 거주 조건 엄격
- 부산시: 다양한 정책 조합, 수요 맞춤형 바우처 중심